• Home
  • 자료실
  • 기타자료

기타자료

건설공사에 있어서 양중작업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글쓴이 : 관리자
    작성일 : 2014-07-31 10:19:07 | 조회: 929
  • 건설공사에 있어서 양중작업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이름 : 운영자     번호 : 9 
    게시일 : 2002/05/05 일     조회 : 92   
    분류 : 건설 
    서 명 : 건설공사에 있어서 양중작업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안전관리 평가 Model 개발을 중심으로) 


               建設工事에 있어서 揚重作業의 安全管理에 관한 硏究 
               (安全管理 評價 Model 開發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Hoisting Work in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Model) 


    저    자 : 김종효(金鐘孝) 
    발 행 처 : 中央大學校 大學院 建築工學科 建築工學專攻 
               (중앙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공학전공) 
    발행년월 : 93년 12월 
    등록일자 : 94년 03월 23일 
    등록번호 : 000031 


    o 면  수 : 189 
    o 발행국 : 한국 
    o 언  어 : 국어 
    [ 초  록 ] 


                                ABSTRACT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Hoisting Work in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Model) 




                                      Kim, Chong Hyo 
                                      Dept. of Architectural Eng. 
                                      The Graduate School of 
                                      Chung Ang University 
                                      Advised by Prof. Shin, Hyun Shik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se causes of fatal accidents, 448 
    cases of deaths, which have occurred for recent years in 
    construction sites of Korea and to develop the model of safety 
    evaluation to control acci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hoisting works in construction sites where a lot of 
    fatal accidents have been occured. 


     HAZOP Studies are selected as hazard analysis technique 
    appropriate for the char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techniques of hazard analysis deverloped 
    until now. Safety checklist i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results 
    of hazard analysis for hoistng works.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ain cause of accidents in hoisting works are the defect 
         of design and manufacture for hoisting Machines (50.67%) and 
         failure of laborer's working methods(22.10%).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accidents Safety should be regarded at 
         first in the designing and manufactring phase and the working 
         methods should be also improved. 


     (2) As a results of hazard analysis for hoisting works by 
         applying HAZOP Studies which are understood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s, total 151 items 
         of accident causes are acquired and Question-style accident 
         safety checklist are established. 


     (3) Frequency level(FL) is classified as 1-5 weighted valu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ccidents analysis ans Severity 
         Level(SL) is classified as 2-5 weighted Valu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brain-storming discussion in HAZOP study. Risk 
         level(RL) is classifying 6 groups selected from 151 items 
         according to values of Matrix. 


     (4) Multi-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level, Severity level, and 
         Risk level by accident causes, and equation of multi- 
         regression is as follows. Severity level is influenced to 
         the determination of Risk level to much more than Frequency 
         level. 


                  RL = 1.712 SL + 0.023 FL - 0.754 


     (5) As checklist for 151 items is applied in sequence, in order 
         to analyse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for hoisting works, 
         safety level(SL) is quatified as percentage which answering 
         yes(Y), no(N) or no relation(X) depending upon the safety 
         action. Evaluation model in determined as follows : 


                           Y OF RL 
                 SL = ───────── × 100 
                        (Y + N) OF RL 


     (6) In case of items answering NO while no safety action is 
         carried out in evaluation of level for safety management, the 
         control for safety is determined by combining consequence and 
         suggested action acquried in HAZOP study, and the item 
         controled is primarily prepared according to hazard order 
         (1-6 steps). Safety level is easily evaluated safety level 
         and problems are construction engineers who are lack of 
         specific knowledge of hoisting machines. 


    [ 목  차 ]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내용 및 방법 
       1-4 연구의 범위 


     Ⅱ 건설공사와 산업재해 


       2-1 산업재해의 정의 
       2-2 전산업의 산업재해현황 
       2-3 건설업의 산업재해 및 재해율 
         2-3-1 건설업 산업재해 현황 
         2-3-2 건설업의 재해율 추이 
       2-4 건설재해 발생형태의 특성 
         2-4-1 추락.낙하.비래 등 재래형 재해의 다발 
         2-4-2 중.고령근로자의 재해발생율 증가 
         2-4-3 기계화에 의한 재해의 증가 
       2-5 산업안전의 영역과 연구의 위치 
         2-5-1 산업안전의 영역 
         2-5-2 연구위치의 설정 


     Ⅲ 양중작업 재해분석 


       3-1 양중작업의 일반적 고찰 
         3-1-1 양중시스템 
         3-1-2 양중계획의 프로세스 
       3-2 양중작업재해분석 
         3-2-1 분석대상 
         3-2-2 Data-base의 구축 
       3-3 양중재해의 발생빈도 분석 
         3-3-1 공사 및 양중기 종류 
         3-3-2 사업장 규모 
         3-3-3 재해자의 연령 
         3-3-4 재해자 근로기간 
         3-3-5 재해 발생월 
         3-3-6 재해발생 요일 
         3-3-7 재해발생 시간 
         3-3-8 재해자 직종 
         3-3-9 사고시의 작업내용 
       3-4 양중재해의 분할표 분석 
         3-4-1 양중기 - 재해형태 
         3-4-2 직접원인 - 사고발생 장치 
         3-4-3 직접원인 - 재해형태 
         3-4-4 양중기 - 직접원인 
       3-5 상관도 분석 
         3-5-1 상관도 분석(Corelation Analysis)이론 
         3-5-2 분석항목 및 인자의 결정 
         3-5-3 분석방법 
         3-5-4 분석결과의 고찰 
       3-6 소 결 


     Ⅳ 양중작업의 위험성 평가 


       4-1 위험성 평가(Hazard Evaluation)기법 고찰 
         4-1-1 위험성 평가의 의의 
         4-1-2 위험성 평가방법 
       4-2 양중작업 특성을 고려한 위험성 평가 방법의 선택 
       4-3 HAZOP Studies를 응용한 양중작업의 위험성 평가 
         4-3-1 HAZOP의 기본개념 
         4-3-2 HAZOP의 용어 
         4-3-3 양중작업 위험성 평가를 위한 HAZOP Studies의 변형 
         4-3-4 HAZOP의 수행 
       4-4 HAZOP Documentation의 작성 
       4-5 소 결 


     Ⅴ 양중작업 안전관리 평가 모델의 개발 


       5-1 안전관리 평가 Model의 개요 
       5-2 안전점검 Checklist의 작성 
       5-3 Checklist 항목별 위험도의 결정 
         5-3-1 빈도수준(Frequency Level) 
         5-3-2 강도수준(Severity Level) 
         5-3-3 위험도 결정을 위한 Matrix 계산 
         5-3-4 위험순위의 결정 
       5-4 Data-base 구축 
         5-4-1 위험요인 검색 Data-base 
         5-4-2 안전수준 평가 Data-base 
       5-5 위험도(Risk Level)산출을 위한 회귀식 
         5-5-1 RL에 대한 FL, SL의 상관관계 
         5-5-2 SL 및 FL을 이용한 RL의 회귀방정식 
       5-6 양중작업의 안전관리 평가 
         5-6-1 평가방법 
         5-6-2 평가결과 
       5-7 소 결 


     Ⅵ 결론 


     참고문헌 


     부    록 

 등록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