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자료실
  • 기타자료

기타자료

비계공사 시공안전시스템 설정을 위한 연구

  • 글쓴이 : 관리자
    작성일 : 2014-07-31 10:25:12 | 조회: 950
  • 서 명 : 비계공사 시공안전시스템 설정을 위한 연구
               (단위 및 강관틀비계 중심으로)


    저    자 : 이천섭(李天燮)
    발 행 처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慶熙大學校 經營大學院)
    발행년월 : 96년 06월
    등록일자 : 96년 07월 04일
    등록번호 : 000078


     면  수 : 89
     발행국 : 한국
     언  어 : 국어


     [초  록]


                              國文要約


     飛階工事 施工安全시스템 設定을 위한 硏究
      -單關및 鋼管틀飛階 中心으로-


                                       慶熙大學校 經營大學院
                                       産業安全管理學科 産業安全工學專攻
                                       李天燮


     본 연구는 비계공사 중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관련문헌 및
     안전작업지침 등을 고찰하고, 또한 설문조사, 현장실태조사를 분석,
     분류 도출하였다. 도출된 재해요인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산업안전법령 및 산업안전기준의 위험예방조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안전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면 재해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되지만
     보다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재해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ㅌ 재해
     예방대책이 함께 시행되어야 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1. 비계기둥, 띠장 및 작업발판구조 등은 상부하중에 대한 구조검토를
        통하여 안전한 구조로 설계하고 지주, 이음새, 마디 등 부재의 배치
        및 치수가 명시된 상세한 조립도를 작성하고 조립도에 따라
        조립하도록 한다.
        또한 비계기중, 띠장 및 작업발판 구조 등에 대한 작업감독 절차를


        # 조립도 검토 및 승인
        # 조립용 재료의 현장 반입 검사 및 승인
        # 조립도에 의한 조립조사 및 시방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순서의 확인
        # 해체 계획서 검토 및 승인


        의 4단계로 구분하여 공사 감리원이 감독을 철저히 하도록 한다.


     2. 비계설치 작업 시작전에 동일 현장내의 다른 작업반에 작업내용을
        통보하여 상하 동시작업및 근로자 출입을 금지하고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망 등 안전시설을 설치한 후 작업하도록 한다.


     3. 비계기둥, 띠장 및 작업발판 등에 관련된 제도적 보완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 설계하중, 구조형식, 사용재료, 재료검사방법, 설계, 검정에 관한
           기준을 개정 또는 제정한다.


        ㉯ 주요 가설비계는 구조물 구조기술자의 검토를 받도록하고, 구조물
           설계도서 제출시 비계조립도와 함께 제출하도록 설계용역
           계약제도를 개선한다.


        ㉰ 현장근로자에게는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는 비계기둥, 띠장 및
           작업발판, 장선구조 등의 조립도, 시방서 등을 숙지시켜 작업에
           임하도록 하고 가시설 이용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한다.


        ㉱ 비계설치작업의 감독업무를 감리업무에 포함시켜 감리자가
           수행하도록 제도화가 필요하다.


        ㉲ 비계의 조립, 해체작업은 위험공종이므로 50세이상의 고령자
           취업을 제한할 근로자 취업규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공사품질 향상을 위하여 비계공사 기능교육을 하는 전문 기능교육
           기관을 설립하여 근로자들이 작업기능, 작업방법, 안전조치 등
           교육을 받도록 하고 이 교육수료자 만 비계공사를 할 수 있도록
           제도화가 필요하다.


        ㉴ 강성이 크고, 조립 해체가 쉬운 가설 기자재의 지속적 개발을 위한
           전문업체의 육성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HEAVY DISASTERS FROM SCAFFOLDS


                                       Lee, Chon Seob
                                       Major in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won, Oh Suk


     This study is performed to suggest prevention measures for heavy
     disasters during scaffolding work by considering various casual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caffolds and working platform are to be fabricated according to
        the detailed fabrication drawings which are prepar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under loading condition. The inspection for
        the fabrication of scaffolding and working Platform is to  be
        carried out by the site engineer in the four procedures as
        follows.


       (1) approval of fabrication drawings upon submittal
       (2) approval of material upon site delivery
       (3) inspection according to the fabrication drawings and approval
           for concreting
       (4) approval of removal upon the detailed plan.


     2. Fabrication and removal of scaffolding are to be executed after
        communication of other working teams in the same place and after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such as safety net against
        falling of laborer and material drop.


     3. The standards for design load, structural shape, materials,
        material test, design and inspection for scaffolding and working
        platform are to be established in detail.


        Also legal articles are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scaffolding materials which are more convenient to
        provide higher strength and to handle in fabrication and removal.
        Convenient for design and engineering of concrete structures are
        to be changed to include the design of scaffolding so as to
        submit the drawings of structure and scaffolding together to the
        clients.


     4. Fabrication drawings and specification for scaffolding and
        working platform are to be presented to the scaffold laborers for
        review at site office and work site under contractor's duty. As
        the fabrication and removal of scaffolding are dangerous,
        laborers over 50 years old are to be legally limited in the
        scaffold. For unskilled laborers, professional technical schools
        having scaffold technical course are to be established and to
        educate laborers for scaffold technics, work methods, safety
        measures, etc. The only laborers upon graduation of the education
        are to b e permitted to work in the scaffolding.


     [목  차]


                              目  次


     圖表目次


     記號說明


     國文要約


     I. 序論
       1-1 연구목적 및 배경
       1-2 연구범위 및 방법


     II. 假說 構造物의 災害現況
       2-1 건설업의 재해현황(1994년도)
       2-2 가설비계 구조의 재해현황
       2-3 가설비계의 실태와 문제점


     III. 飛階設置 計劃 및 使用 安全性
       3-1 비계의 설치계획
       3-2 비계의 사용안전성
       3-3 비계의 재사용시 선별기준
       3-4 현장 및 설문조사 자료의 주요 전산 DATA


     IV. 分析
       4-1 단관비계
       4-2 강관틀비계


     V. 結論


     ABSTRACT


     REFERENCES


     附錄
     

 등록된 댓글(0)